카테고리 없음

당신의 문해력 11회 리터러시 특집 2부작 가짜 뉴스에 속지 않는 문해력으로 온라인에서 살아남는 법 미디어 9월 22일

애니 2022. 9. 22. 17:15

당신의 문해력 11회 리터러시 특집 2부작 가짜 뉴스에 속지 않는 문해력으로 온라인에서 살아남는 법 미디어 9월 22일

EBS 당신의 문해력 플러스 11회 2022년 9월 22일 방송 출연진 프로필 
진행 : 봉태규 광희 초아 수잔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신지영 교수

가짜 뉴스에 속지 않는 문해력

‘문해력으로 온라인에서 살아남는 법’
한국이 코로나19 관련 허위 정보 구별에 취약한 이유는 무엇?
가짜 뉴스에 속지 않는 미디어 리터러시

가짜 뉴스에 속는 사람들
늘어난 미디어 숫자와 범람하는 정보만큼 우리를 위협하고 있는 가짜 뉴스. 
뉴스, 메신저, 동영상 등 하루에도 접하게 되는 수십, 수백 가지의 정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내 주변에 가짜 뉴스는 얼마나 많을까요? 
온라인에서 접하는 정보들의 진위를 구분할 수 있을까요? 
<당신의 문해력+>(당신의 문해력 플러스)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특집 2부작을 통해 ‘문해력으로 온라인에서 살아남는 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특집 1편, ‘가짜 뉴스에 속지 않는 문해력’
공신력 있는 언론에서도 허위 정보가 보도되기도 합니다. 
가짜 뉴스도 날로 정교해지고 있는 시대, 믿을만한 출처만으로 더 이상 가짜인지 진실인지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졌습니다. 
특히 엄청난 혼란을 야기했던 코로나19 팬데믹. 코로나19를 타고 가짜 뉴스는 더욱 혼란을 가중시켰는데요. 
문제는 루머성 기사가 단지 해프닝으로만 끝나지 않는다는 것인데요. 
가짜 뉴스로 영국에선 전화 기지국에 방화가 일어났고, 이란에선 메탄 알코올을 먹고 수백 명이 사망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문제는 한국이 가짜 뉴스에 특히 취약하다는 것인데요. 
2020년 언론진흥재단의 <코로나19 관련 뉴스 및 정보 이용에 대한 6개국 조사> 연구에 따르면 한국이 6개국 중 코로나19 관련 허위 정보를 구별하는 것에 가장 취약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짜 뉴스에 속지 않는 미디어 리터러시
가짜 뉴스에 유난히 잘 속는 이유가 있을까요? 
제작진은 사람들이 어떻게 뉴스를 읽고 참·거짓을 판단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 카메라를 진행했습니다. 
실험을 통해 드러난 사실은 사람들이 정보를 판단할 때 개인적 경험과 기존 사고방식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인데요. 
카이스트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는 “가짜 뉴스에도 명확하게 패턴이 있다”라며 최소한 언어적 특징을 유념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한 방송에서는 통계, 그래프 등 미디어 자료에 속지 않고 자료를 읽어내는 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합니다.
건강, 재산, 생명까지 위협하는 가짜 뉴스. 
온라인을 타고 정보가 넘치는 시대, 생존을 위한 문해력 팁을 알아보는 <당신의 문해력+> ’미디어 리터러시 특집 2부작‘. 첫 번째 편 11부 ’가짜 뉴스에 속지 않는 문해력‘은 9월 22일 밤 10시 45분 EBS 1TV에서 방송합니다.